지진, 알아야 대비할 수 있다.

 

검색에 순위에서 '규모 4.2 지진 발생' 같은 표현을 보는 건 이제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경주 지진포항 지진을 겪으며 지진은 우리에게 두려우면서도 친숙한(?) 자연현상이 되었습니다. 한편 지진의 강도를 나타낼 때 '진도'라는 표현도 자주 사용하죠. 그런데 정작 이것들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Seismic-01.jpg

 

먼저 지진을 나타낼 때 가장 중요한 정보는 지진의 '규모'입니다.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는 기준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 '리히터 규모'입니다. '리히터'라는 이름은 1935년 지진의 강도를 절대적 수치로 나타내자고 제안한 미국의 지질학자인 찰스 리히터C. Richter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리히터 규모:
지진에 의해 리히터 지진계에 기록된 지각의 진동 수치이다. 지표상 한 지점에서 나타나는 진동의세기에 관한 척도로,
측정된 지진파의 최대 진폭으로 방출된 에너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한마디로 얘기하면, 지진의 강도를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수치로 표현한 것리히터 규모입니다. 5.0의 지진은 4.0의 지진보다 강하겠죠. 그런데 여기서 규모의 수치가 얼마 만큼의 에너지 차이를 보이는지 기억해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규모는 로그축에서 측정되는 거라, 규모가 1.0 커질 때마다 에너지의 양은 약 32배 커집니다. 따라서 3.0 지진은 4.0 지진보다 약 32배 강합니다. 규모가 2.0 차이 나면 에너지의 측면에서는 32X32, 약 1,000배 차이 나는 지진이 되는 것입니다. 규모 4.0 지진과 규모 6.0 지진은, 수치로 보면 고작 2.0 차이라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지만, 1,000배 이상 에너지 차이가 나는 차원이 다른 지진입니다.

 

Seismic-02.jpg

 

참고로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 지진은 본진 최대 규모가 5.8이었고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은 본진 최대 규모가 5.4였습니다. 수치로 봤을 때 0.4 차이니, 실제 지진 강도로 따지면 경주 지진이 포항 지진보다 10배 이상 강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진도'가 있습니다.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건 '수정 메르칼리 진도계급Modified Mercalli intensity, MMI'이라는 진도인데, I, V, VII 같이 로마 숫자로 표현합니다.

진도:
지진이 일어났을 때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척도이다(수정 메르칼리 진도계급의 경우 진도는 12단계로 구분됨).
 

Seismic-03.png

수정 메르칼리 진도계급을 정리해놓은 행정안전부 자료. 진도는 지진의 규모와는 달리 주관적으로 측정합니다.

 

간단히 말해 '진도'는 주관적으로 느낀 진동에 따라 지진의 강도를 계급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지진이 나더라도 지역에 따라 진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항 지진이 났을 때 포항에서는 큰 진동을 느꼈을 것이고 피해도 크게 났습니다. 여기서는 높은 진도가 기록됩니다. 한편 그 지진을 서울에서 느끼신 분들도 많은데, 서울에서 느껴진 진동은 포항만큼 크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면 서울에서는 포항보다 낮은 진도가 기록되는 것입니다.  

 

Seismic-04.gif

지진이 일어난 곳을 가리키는 '진원'과 '진앙'이라는 개념을 알아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지진은 땅속 어느 지점에서 암석이 파열되며 발생하는데, 그렇게 암석이 파열되는 땅속의 지점을 '진원'이라고 합니다. 땅속에서 어떤 에너지가 생겨나는 지점이라고 볼 수가 있겠죠. 한편 '진앙'은 '원' 바로 위 지표상의 지점을 뜻합니다. 진원에서 가장 가까운 지표상의 지점이 진앙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진앙에서 진동을 가장 크게 느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Seismic-05.jpg

 

지진이 얼마나 깊은 곳에서 일어나느냐에 따라 지진을 '심발지진', '중발지', '천발지진'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심발지진'은 지하 300~700km에서, '중발지진'은 지하 70~300km에서 발생하는 지진입니다. 이들 지진은 주로 해구에서 발생하며, 워낙 깊은 곳에서 발생해 우리에게 큰 피해를 주지는 않습니다.  우리에게 피해를 주는 지진은 '천발지진'인데 지하 70km 이내에서 지층이나 지각 간의 마찰, 충돌, 운동 때문에 발생합니다. 천발지진은 가장 흔한 지진이며 모든 판의 경계에서 일어납니다. 천발지진 중에서도 지표와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지진일수록 우리에게 큰 피해를 줍니다.  

 

Seismic-06.jpg

 

지진은 피해가기 어려운 자연현상이 되었습니다.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을 거치며 지진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아직 지진에 대한 우리 상식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죠. 지진도 알아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과학하고 앉아있네 8: 지진 흔들어보기 (도서출판 동아시아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다른 프로그램과의 연동이 않되는 경우 file 박종배 2017-11-22 16630
공지 Excel/CAD파일의 생성이 않되는 경우 file [1] 박종배 2017-11-22 6330
공지 윈도우 사용자 계정권한 변경하는 방법 file 박종배 2017-11-16 5614
공지 BeST프로그램 폰트 표시 오류에 대한 해결방법 file 박종배 2016-09-30 3917
공지 Windows에서 BeST프로그램의 실행이 안될때 - 사용자 계정 컨트롤 file 박종배 2010-08-27 27680
100 매립형 합성보 검증 자료 file [2] 박종배 2018-08-22 64165
99 리모델링, 안전진단시의 하중은 신축건물의 하중과 달라야 합니다 박종배 2018-08-20 2409
98 온통기초(Mat)의 해석 및 설계 방법 박종배 2018-08-03 4742
97 보배근의 합리화 file 박종배 2018-07-10 2262
96 KS 탄소강의 종류와 특징 file 박종배 2018-06-24 2324
95 지진하중의 수평비틀림모멘트(우발편심)을 고려하는 방법에 대하여 file 박종배 2018-06-22 3986
94 콘크리트의 전단강도계산시 단면2차모멘트가 아니라 단면적을 사용하는 이유 file 박종배 2018-06-21 2199
93 APT 지하주차장 기초의 전단철근보강 file 박종배 2018-06-20 4100
92 강구조에서 판폭두께비의 적용 file 박종배 2018-05-23 3722
» 규모는 뭐고 진도는 뭘까? 지진 용어 제대로 알기 file 박종배 2018-04-16 8695
90 APT 지하주차장의 기둥 형상 file 박종배 2018-04-11 10940
89 공진은 무서워? file 박종배 2018-01-30 2693
88 합성기둥(SRC Column)의 설계 file 박종배 2017-12-20 4054
87 [양식파일] 프린트시 바탕이 되는 양식파일 작성법 file 박종배 2017-12-07 1224
86 다리에 숨은 과학 원리 file 박종배 2017-11-09 71014
85 SRC기둥에서 시공단계별 응력검토는? file 박종배 2017-10-19 1868
84 벽체 면외방향 좌굴을 검토해야 할까요? 박종배 2017-10-17 2895